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6일 경남 사천 본사에서 ‘항공소재개발연합’의 항공소재 국산화 개발 성과를 발표하고 산·학·연 기술교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항공소재개발연합은 지난 2019년 출범해 국내 항공우주산업 발전 및 소재 국산화를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있으며, 현재 경상국립대학교, 한국재료연구원, 소재·부품 제조사 43개사 등 총 52개 기관·기업이 참여하고 있다.
이번 기술교류회에서는 국민대학교, 부산대학교, 울산대학교가 새로운 기술협력협약(MOU)을 체결하며 연합에 새롭게 동참했다.
이를 통해 산학연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KAI는 항공소재 국산화 사업을 통해 지금까지 알루미늄 압출재, 티타늄 압연재, 분말 등 항공용 소재 69종과, 기계류·전장류·배관류 등 표준품 159종을 포함해 총 228종의 소재 국산화에 성공했다.
국산화된 소재는 KF-21 보라매 및 각종 양산기에 적용돼 누적 715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항공용 소재는 고강도, 내구성, 내열성 등 까다로운 특성을 갖추어야 하며 레이더, 엔진, 스텔스 등 핵심 기술과 함께 기술이전이 제한된 전략 품목으로 분류된다.
KAI는 향후 총 1800여종의 항공소재 및 표준품 가운데 사용 빈도가 높은 상위 50% 품목(약 900종)을 오는 2030년까지 국산화해, 총 1조3000억원 규모의 수입 대체 효과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다.
회사 관계자는 “소재 국산화는 단순히 공급 안정성과 원가 경쟁력 향상에 그치지 않고 생산 일정 단축, 운송비 절감, 나아가 수출 경쟁력 제고까지 가능하게 한다”며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인 만큼, 경제적 파급효과와 고용 창출 효과도 매우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항공소재개발연합은 국산 항공소재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으며 국내 소재업체들의 보잉, 에어버스 등 해외 항공기 제작사 공급망 진입을 통해 수출시장 확대도 추진 중이다.